macos 2

MAC OS brew부터 node, nvm 설치, node version 변경까지

집에있는 Macbook air 를 팔려고 포맷하려다가 앱생태계는 다다익선이므로, 집에서 토이플젝 용도로 세팅을 해보았다. 나조차도 자주 까먹어서 맨날 찾아보니 이 참에 한번 정리해봄 1. brew 설치 brew는 맥용 패키지 관리자이다. 홈페이지에 있는대로 터미널에 복붙한다. /bin/bash -c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HEAD/install.sh)" Homebrew 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(or Linux). brew.sh ** 내 맥북버전은 디폴트가 zsh여서 bash를 선호하는 나로써 bash로 터미널 기본값을 변경해주었다.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고 터미널을 다시..

카테고리 없음 2023.03.19

[kubernetes] minikube install on macOS

virtualbox, vagrant 별별 모든것을 건들다가 미친듯한 환경설정에 지쳐버린 나는 그래 그냥 우선 minikube설치해서 kubectl이나 익숙해지자! 라는 생각에 로컬에 설치해보았다. - MAC 환경 : minikube는 그다지 사양이 중요하진 않지만 진짜 k8s는 아래와 같은 스펙이 권장된다. * Master 노드 최소 사양 : CPU: 2 Core, RAM: 2G * Workder 노드 최소 사양 : CPU: 1 Core, RAM: 1G 1. Docker Desktop설치 https://docs.docker.com/desktop/mac/install/ 로 이동하여 dmg 파일 다운로드 및 설치 나는 intel chip으로 선택 (본인 pc에 맞게 선택) 2.Hyperkit설치 - mini..

Docker&Kubernetes 2023.02.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