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인프런 강의 노트1] Vue.js 끝장내기 - 실무에 필요한 모든 것
회사에서 인프런 강의는 대부분 지원을 해주기에
프로젝트 기간동안 잘 모르고도 넘어갔던 것이랑
헷갈렸던 걸 되짚어보는 시간을 갖기 위해 인프론 vue 중급강의를 듣게 되었다
대부분 아는 내용이긴 하지만
한번 더 정리하는 기회가 되는 것 같아 나름 의미가 있다.
포스팅에선 새롭게 알게된 내용이나 기록해둘만한 것만 간단하게 메모하는 느낌으로
끄적끄적 해볼까 한다.
ESLint 에러 설정
*ESLint ? 쉽게 문법 구조 검사 도구 라고 생각해보자.
처음 세팅 시 필요한 건데,
ESLint 에러가 나면 localhost:portnumber는 까만 불투명 화면이 덮어지면서
에러문구가 보이고 시스템을 확인할 수가 없다.
로직문제는 아니고 단순히 문법?에 대한 오류인데 보통은 로그에 에러는 뜨더라도
시스템은 운영은 되어야 하기에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.
- 프로젝트 최상단에 vue.config.js 파일을 만들고 아래와 같이 입력
module.exports = {
devServer: {
overlay: false,
},
};
도구의 설정파일은 수정되었으면 서버 재실행을 해야한다.
혹시, vue create 시 이미 vue.config.js파일이 생성되고, 코드가 작성되어있는 상태라면
아래와 같이 devServer를 넣어주면 된다.
나는 이거때문에 조큼 애먹었음..
* 참고 : https://webpack.js.org/configuration/dev-server/#overlay
DevServer | webpack
webpack is a module bundler. Its main purpose is to bundle JavaScript files for usage in a browser, yet it is also capable of transforming, bundling, or packaging just about any resource or asset.
webpack.js.org
const { defineConfig } = require("@vue/cli-service");
module.exports = defineConfig({
transpileDependencies: true,
devServer: {
client: {
overlay: false,
},
},
});
jsconfig.json으로 파일절대경로 설정
파일 import 시 경로가 만약 "../../../../test.vue"식으로 된다면?
누가봐도 안이쁘다
"@/test.vue" 형식으로 import할 수 있도록 절대경로를 설정해주자
src를 절대경로로 설정한 내용
1) jsconfig.json 에서 node모듈과 빌드폴더인 dist를 제외하고 src경로를 @으로 지정
2) App.vue에서 Demo폴더의 test.vue는 "../../" 이 아닌 @ 를 통해 import